저축은행의 새로운 도전, 웰코어로 IT 신사업 개척하다

저축은행, 예대마진에만 의존하면 미래가 없다?

요즘 저축은행 업계가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저축은행은 ‘예대마진’, 즉 예금과 대출의 이자 차이로 수익을 내는 전통적인 방식에 주로 의존해 왔는데요. 최근엔 이런 방식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위기감이 커지면서, 다양한 신사업 발굴과 수익원 다변화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웰컴저축은행의 새로운 도전, ‘웰코어(WELCORE)’란?

웰컴저축은행은 최근 자체 개발한 금융 표준개발 프레임워크 ‘웰코어(WELCORE)’의 저작권, 상표권, 특허권 등록을 모두 마치고, 본격적으로 상용화에 돌입했습니다. 여기서 프레임워크란,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필요한 뼈대와 기능을 미리 정해둔 틀입니다. 개발자들이 매번 처음부터 코딩하지 않고, 필요한 기능을 빠르게 조립하듯 만들 수 있는 ‘레고 블록’ 같은 역할을 하죠.

웰코어는 특히 금융업에서 자주 쓰이는 기능들을 모듈형(조립형) 구조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중소형 저축은행이나 캐피털사, 핀테크 기업 등도 복잡한 금융 IT 시스템을 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웰컴저축은행은 단순히 웰코어를 판매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유지·보수까지 책임지면서 장기적인 수익 모델을 만들 계획입니다.

왜 금융 IT 프레임워크가 주목받는가?

기존엔 대부분의 금융사들이 IT 시스템을 SI(System Integration) 업체에 외주로 맡겼습니다. 하지만 금융업에 특화된 표준 프레임워크가 나오면, 업계 전반에서 수요가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미 웰컴저축은행의 관계사인 NPL(부실채권) 전문회사에도 웰코어를 적용해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라고 하니, 실전 검증도 끝난 셈입니다.

또한, 웰코어는 금융 보안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국내 시장을 넘어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 진출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마이데이터 사업, 그리고 새로운 금융 서비스의 확대

웰컴저축은행은 이미 2021년 마이데이터 사업에 진출해, 지난해 말 손익분기점(BEP)을 돌파하며 안정적인 사업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마이데이터는 여러 금융기관에 흩어진 내 금융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여기에 중개 플랫폼 기능까지 더해, 다양한 금융기관으로부터 수수료를 받는 새로운 수익 모델을 창출하고 있죠.

저축은행 업계, 다양한 신사업에 속속 진출

웰컴저축은행뿐 아니라, 동양저축은행 등도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해 마이데이터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또 고려저축은행, 다올저축은행, 스마트저축은행 등 29곳의 저축은행은 P2P(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와 대출연계투자 사업에도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최근 금융위원회가 저축은행의 온투업 연계대출을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하면서 가능한 일이 되었습니다.

온투업은 쉽게 말해,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체가 대출자를 모집하고 저축은행이 실제 신용대출을 실행하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추면, 저축은행도 이자수익 외에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신사업의 걸림돌, ‘포지티브 규제’

하지만 저축은행 업계에는 여전히 장애물이 있습니다. 바로 ‘포지티브 규제’라는 제도적 한계인데요. 포지티브 규제란, 할 수 있는 업무만 정해놓고 그 외에는 금지하는 방식입니다. 덕분에 신사업을 추진하려면 일일이 인허가를 받아야 하고, 속도도 느릴 수밖에 없습니다.

업계에서는 은행처럼 네거티브 규제(금지된 것만 명시하고 나머지는 허용)로 전환해달라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만약 규제 방식이 바뀐다면, 저축은행들도 훨씬 더 창의적이고 다양한 신사업에 도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저축은행의 변화, 기대해도 될까?

최근 저축은행 업계의 변화는 단순히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다지려는 전략입니다. 웰컴저축은행처럼 IT와 데이터 사업에 적극 투자하는 곳이 늘어나고, 다양한 금융서비스와 신기술이 결합된다면, 저축은행도 기존의 ‘구식 금융사’ 이미지에서 벗어나 디지털 시대에 걸맞은 혁신 금융사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저축은행이 전통적인 예대마진을 넘어, IT와 데이터, 플랫폼 사업 등으로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모습이 앞으로 금융권 전체의 판도를 어떻게 바꿀지, 기대해볼 만합니다. 앞으로도 저축은행 업계의 혁신과 변화 소식, 쉽고 빠르게 전달드리겠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