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소비자물가, 다시 1%대로! 무슨 일이 있었을까?
여러분, 최근 장을 볼 때나 외식할 때 물가가 조금은 진정된 느낌, 받으셨나요? 바로 5월 소비자물가가 오랜만에 1%대로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소비자물가가 무엇이고, 왜 1%대로 내려왔는지, 그리고 우리 생활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쉽게 풀어 설명해드릴게요.
소비자물가란? 쉽게 알아보기
소비자물가란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을 의미합니다. 즉, 장을 볼 때 구입하는 식료품, 외식비, 교통비, 전기세 등 다양한 생활비가 얼마나 올랐는지, 또는 내렸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통계청에서는 매달 ‘소비자물가지수’라는 숫자로 발표하는데, 이 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얼마나 올랐는지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라고 해요.
5월 소비자물가, 1.9% 상승… 5개월 만에 1%대 복귀!
2025년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7(2020년=100 기준)로, 1년 전보다 1.9% 올랐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올해 들어 2%대 초반을 유지하던 물가상승률이 5개월 만에 다시 1%대로 내려왔다는 점입니다. 작년 12월 이후 처음이에요.
이전 1~4월 동안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2% 수준이었는데, 이번 달에는 1.9%로 소폭 하락한 것이죠.
왜 물가가 진정됐을까? 주요 요인 살펴보기
1. 채소 가격 하락, 농산물 효과
올해 봄, 기상 여건이 좋아 채소 출하량이 늘면서 농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4.7%나 하락했습니다. 덕분에 농축수산물 전체 가격은 0.1% 상승에 그쳐 전체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역할을 했어요.
2. 국제 유가 하락, 석유류 가격도↓
국제 유가가 내림세를 보이면서 석유류 가격이 2.3% 하락했습니다. 휘발유, 경유, 등유 등 석유제품 가격이 내려가니 물가 전체를 0.09%p(퍼센트포인트) 낮추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3. 돼지고기·계란 등 축산물 가격은 급등
반면, 돼지고기와 계란 등 축산물 가격은 3년 만에 최대 폭으로 올랐습니다. 특히 돼지고기 수요가 늘고,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크게 뛴 것이 눈에 띕니다. 축산물 가격 상승은 장바구니 부담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했어요.
품목별 물가 변화,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
서비스 가격 상승
서비스 분야는 2.3% 올랐습니다. 특히 개인서비스(미용실, 세탁, 학원, 외식 등)는 3.2%나 뛰었는데, 이 중에서도 외식 서비스가 3.2%,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는 3.1% 상승했습니다. 외식비 부담, 여전히 느껴지시죠?
가공식품도 강세
공업제품 중 가공식품 가격도 4.1% 상승해 전체 물가를 0.35%p 올렸습니다. 라면, 과자, 빵 등 일상적으로 자주 사는 식품류 가격이 오른 것이죠.
신선식품은 오히려 하락
밥상 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 지수는 1년 전보다 5.0% 하락했습니다. 특히 채소류 가격이 크게 내려가 장바구니 부담을 다소 덜어줬어요.
생활물가지수도 상승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 비중이 큰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2.3% 올랐습니다. 즉, 체감 물가는 여전히 오름세라는 뜻이죠.
근원물가 동향도 함께 체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주로 참고하는 근원물가(식료품·에너지 제외)는 2.0% 상승으로 전월(2.1%)보다 소폭 내렸고, 농산물·석유류 제외 근원물가는 2.3% 상승했습니다. 에너지나 농산물처럼 외부 요인에 따라 급변하는 품목을 빼고 계산한 수치라, 실제 내수 경제의 물가 흐름을 잘 보여줍니다.
앞으로의 전망은?
5월 소비자물가가 1%대로 내려오긴 했지만, 축산물·가공식품·서비스 물가가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어 안심하긴 이릅니다. 여름철에는 기상 이변, 국제 유가 변동 등 다양한 변수가 남아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물가 동향을 꾸준히 지켜봐야 할 것 같아요.
마무리: 내 지갑에 미치는 영향, 꼼꼼히 체크하세요!
이번 5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정리해보면, 채소 등 일부 품목 가격 하락과 국제 유가 하락 덕에 전체 물가 상승률이 다소 진정됐지만, 축산물·가공식품·서비스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어 체감 물가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장보실 때, 외식하실 때 가격 변동을 꼼꼼히 체크하고, 가계관리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매달 소비자물가 동향을 쉽고 알기 쉽게 정리해드릴 테니,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