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BK기업은행, 또 터진 직원 배임 사건…무엇이 문제였나?
최근 IBK기업은행에서 또 한 번의 직원 배임 사건이 발생해 금융권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이번 사건은 기존의 가족 연루 부당대출 사태 이후 내부 통제를 강화한 와중에 적발된 것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사건의 전말과, 기업은행이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배임 사건, 무슨 일이 있었나?
2023년 3월 31일부터 4월 28일까지, 기업은행 서울의 한 지점에서 총 18억9900만원 규모의 배임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배임의 주인공은 해당 지점의 직원이었습니다. 이 직원은 자신의 배우자가 소유한 법인이 제2금융권(캐피탈,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받은 것을, 기업은행 대출로 대환(기존 대출을 새 대출로 갚는 것)해주었습니다.
문제는, 이런 경우 은행 내부 규정상 ‘이해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진 신고를 해야 하고, 심사나 대출 과정에서 엄격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하지만 해당 직원은 이런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이해충돌 금지 규정을 위반하게 되었습니다.
금전적 손실은 없었나?
다행히도, 이번 대출은 전액 담보가 확보된 상태였습니다. 즉, 만약 대출금이 회수되지 않아도 담보를 통해 충분히 보전이 가능한 구조였기 때문에, 기업은행 측에서는 “실제 금전적 손실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은행원의 윤리와 내부 통제라는 측면에서 볼 때 심각한 문제임은 분명합니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될까?
사실 기업은행에서는 이미 전·현직 직원과 가족이 연루된 수백억 원대 부당대출 사건이 연이어 드러난 바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은행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내부 통제 강화책을 마련해 시행해왔습니다.
- 부당대출 방지 확인서 작성 의무화
- 임직원 및 친인척 데이터베이스(DB) 구축
- 영업과 심사 부서의 완전 분리
- 자체 감사 확대
이번 배임 사건은 바로 이런 쇄신책의 일환인 ‘자체 감사’ 과정에서 적발된 것입니다. 즉, 은행이 스스로 내부를 점검하다가 규정 위반을 발견했고, 사전에 문제가 확산되는 것을 막았다는 점에서는 진전된 모습으로 평가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은행의 대응, 어떻게 하고 있나?
기업은행은 이번 사고를 횡령이 아닌, 이해충돌 금지 위반으로 분류했습니다. 전액 담보가 확보되어 실질 피해는 없지만, 관련 직원에 대해 인사 조치를 실시하고, 수사기관에 고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신속한 조치는 내부 통제 강화 의지를 보여주는 한 예입니다.
금융권의 교훈: 내부통제와 윤리의 중요성
이번 사건은 단순히 한 명의 직원 문제로만 볼 수 없습니다. 금융기관이 신뢰를 유지하려면, 내부통제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해야 하며, 직원 개개인의 윤리의식도 뒷받침되어야 합니다. 제도가 아무리 잘 되어 있어도, 이를 어기는 사람이 있다면 또 다른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은행이 부당대출이나 배임과 같은 사고를 완전히 근절하기 위해서는,
- 모든 임직원이 ‘이해충돌 금지’ 등 윤리 규정을 충분히 인지하고 실천해야 하며,
- 정기적인 자체 감사를 통해 사각지대를 점검해야 하고,
- 위반 사례에는 엄정한 조치를 취해 경각심을 높여야 합니다.
마치며
이번 IBK기업은행의 배임 사고는 실제 손실은 없었지만, 내부통제와 윤리의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은행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내 일처럼’ 관심을 갖고, 금융기관의 신뢰와 투명성이 지켜질 수 있도록 지켜봐야 할 때입니다. 앞으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더욱 강도 높은 내부 감시와 윤리 교육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