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쓰레기 줄이는 혁신 다회용기 세척 서비스 트래쉬버스터즈

한국, 플라스틱 쓰레기 공화국? 우리가 꼭 알아야 할 현실

여러분은 하루에 몇 번이나 일회용품을 사용하시나요? 커피 한 잔, 배달 음식, 행사나 콘서트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일회용 컵과 용기들. 우리나라에서 쏟아져 나오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실제로 한국의 1인당 연간 플라스틱 배출량은 90.5kg에 달하며, 이는 OECD 평균의 두 배가 넘는 수치입니다.
정부는 플라스틱 재활용률이 70%를 넘는다고 하지만, 소각을 통한 에너지 회수까지 포함한 수치입니다. 진짜 ‘물질 재활용’만 따지면 18%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이렇다 보니 전문가들은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여야 한다”고 입을 모으죠.

‘쓰레기산’을 보고 창업한 트래쉬버스터즈

이런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트래쉬버스터즈(Trash Busters)입니다. 트래쉬버스터즈는 곽재원 대표가 2019년 창업한 회사인데요, 그는 10년 넘게 콘서트와 공연을 기획하면서 행사장에 쌓이는 어마어마한 일회용 쓰레기를 직접 보고,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생각에 창업을 결심했다고 합니다.

트래쉬버스터즈는 다회용기 대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용자는 행사나 매장에서 다회용기를 사용하고, 다 쓴 용기는 전용 반납함에 넣기만 하면 됩니다. 트래쉬버스터즈가 직접 수거해서 세척 후 다시 깨끗하게 대여하는 방식이죠.
설거지나 쓰레기 처리 걱정 없이, 비용까지 절약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도 편리합니다.

9천만 개의 일회용 컵, 절약 효과는?

곽 대표에 따르면, 창업 이후 지금까지 트래쉬버스터즈가 절약한 일회용품 컵만 9,000만 개에 달한다고 합니다.
현재는 안양에 위치한 전문 세척 센터(TSWC)에서 하루 14만 개의 다회용 컵을 세척해 다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췄습니다. 이 규모는 서울월드컵경기장 3배에 달한다고 하니 정말 놀랍죠!

일회용보다 더 깨끗하고 저렴한 다회용기, 어떻게 가능할까?

트래쉬버스터즈의 핵심은 AI 기술과 자체 세척 시스템에 있습니다.
기존 다회용기 서비스는 세척 과정에서 인건비 부담이 컸지만, 트래쉬버스터즈는 AI로 검수와 분류 작업을 자동화해 비용을 대폭 낮췄습니다.
또, 초고압(100bar), 고온(70~80℃) 분사와 자외선(UV) 살균 등 6단계 세척 솔루션을 자체 개발해 위생 수준도 한층 높였습니다.
실제 미생물 검사 기준으로 일회용품보다 더 깨끗하다고 강조합니다.

뿐만 아니라, 세척과 배송 과정에서 물과 가스 사용량을 줄이는 기술도 적용하여, 탄소배출은 일회용품의 20% 이하 수준으로 낮췄습니다.

기업과 행사, 스포츠장까지… 빠르게 확장되는 서비스

트래쉬버스터즈의 매출 80%는 B2B(기업간거래)에서 발생합니다.
네이버, 카카오, KT, 하이브 등 대형 IT기업 사내 카페에 매일 다회용 컵을 공급하고 있고, 최근에는 야구장, 축구장 등 스포츠 분야로도 서비스 영역을 넓히고 있습니다.
일부 경기장에서는 음료를 다회용 컵에 담아 판매하는 시범사업도 이미 시작됐습니다.

이처럼 사업이 성장하면서 매출은 매년 200% 가까이 급등하고 있고, 올해는 100억 원 돌파를 바라보고 있다고 합니다.

100리터 쓰레기봉투 350개에서 8개로! 친환경 경영의 힘

트래쉬버스터즈의 효과는 숫자로도 명확히 드러납니다.
예를 들어 3,000명 규모의 행사에서, 기존에는 100ℓ 종량제 봉투 350개가 필요했지만, 다회용기를 도입하면 8개만 필요하다고 합니다.
기업들도 친환경 경영, ESG 경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고,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점점 더 많은 기업이 트래쉬버스터즈의 서비스를 찾고 있습니다.

“비용도 경제성도, 편견을 바꿉니다”

많은 사람들이 “친환경은 비싸다”고 생각하지만, 트래쉬버스터즈는 비용과 편의성 모두 일회용품과 맞먹거나 오히려 더 경제적이라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카페 등 일반 매장에서도 사용률이 빠르게 늘고 있는 이유입니다.

다회용기, 미래는 어디까지? 트래쉬버스터즈의 도전

트래쉬버스터즈는 올해 안에 하루 21만 개 세척 가능한 라인을 3배까지 확장할 계획입니다.
더 나아가 화장품 용기, 현수막 등 다양한 1회용품 대체 솔루션을 개발 중입니다.
“우리는 단순히 ‘다회용기 세척 서비스’ 회사에 머무르지 않고, 일회용품 위주의 사회 시스템 자체를 바꾸는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게 곽 대표의 포부입니다.

정부와 시장, 함께 만들어가는 순환경제

마지막으로 곽 대표는 정책의 일관성민간의 혁신 보호가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일회용품 규제가 자주 바뀌면 기업들이 예측하고 준비하기 어렵고, 일부 지자체에서 민간의 기술을 그대로 베껴 세척장을 운영하는 것은 사실상 ‘기술 탈취’에 가깝다고 지적합니다.
민간이 오랜 시간 공들여 개발한 혁신이 시장에서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와 공공이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메시지입니다.

결론: 일회용품 줄이기, 생각보다 쉽고 즐거울 수 있다

플라스틱 문제, 자원순환, 탄소중립… 모두 거창해 보이지만, 우리의 작은 선택 하나가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트래쉬버스터즈처럼 혁신적인 서비스 덕분에, 이제는 ‘불편하지 않은 친환경’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일회용 대신 다회용을 선택해 보세요. 미래를 바꾸는 힘, 생각보다 가까이에 있습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