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씨티은행 상반기 순이익 4.5% 증가 비이자수익 급증과 기업금융 성장

한국씨티은행 2025년 상반기 실적, 소비자금융 철수에도 ‘순이익 증가’…무슨 일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국씨티은행의 2025년 상반기 실적을 알기 쉽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소비자금융 단계적 폐지라는 큰 변화 속에서도 순이익이 오히려 늘었다고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1. 상반기 순이익 4.5% 증가! 어떻게 가능했나?

2025년 상반기, 한국씨티은행의 순이익은 1,83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작년 같은 기간(1,751억원)과 비교하면 약 4.5% 늘어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총수익은 5,595억원으로, 전년 대비 소폭 줄었지만 이익은 오히려 늘어난 것이죠.

이런 실적의 배경에는 기업금융 부문에서의 강한 성장이 있었습니다. 소비자금융(개인대출 등)을 단계적으로 철수하면서 전통적인 이자수익은 줄었지만, 기업금융 중심의 비이자수익이 크게 늘어나 전체 이익을 견인했습니다.


2. 이자수익은 왜 급감했을까?

상반기 실적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이자수익의 큰 감소입니다. 2025년 2분기 이자수익은 1,287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37%나 줄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소비자금융 단계적 폐지: 개인 대출을 줄이면서 이자수익이 자연스럽게 감소했습니다.
  • 대출자산 감소: 2025년 6월 말 기준 고객 대출 자산은 7조 5,532억원으로, 1년 전보다 31.2% 감소했습니다.
  • 순이자마진(NIM) 하락: 시장금리가 하락하고, 대출 포트폴리오가 축소되면서 2분기 NIM은 2.36%로 작년 대비 0.6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즉, 이자수익 구조가 약해진 것은 전략적인 소비자금융 철수와 시장 환경 변화 때문이었습니다.


3. 비이자수익, 67.1% 폭발적 증가

이자수익이 줄어든 자리를 비이자수익이 채웠습니다. 2025년 2분기 비이자수익은 1,623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67.1%나 증가했습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부문에서 수익이 늘었습니다.

  • 외환
  • 파생상품
  • 유가증권 거래

이처럼 기업금융 중심의 비이자수익이 크게 성장하면서, 은행의 전체 수익구조가 이자 중심에서 벗어나 한 단계 다변화된 모습입니다.


4. 비용 관리와 대손비용 변화

은행의 비용도 눈여겨볼 부분입니다. 2025년 2분기 총비용은 1,375억원으로, 전년 대비 8.8% 줄었습니다. 특히 인건비나 기타 일반관리비가 줄면서 효율성이 높아졌습니다.

다만, 대손비용(대출 부실에 대비한 충당금)은 227억원으로, 중견·중소기업 관련 충당금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24.1% 늘었습니다. 이는 경기 변동성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고객 대출 자산과 예수금의 변화

  • 대출 자산: 2025년 6월 말 기준 7조 5,532억원으로, 소비자금융 철수 영향으로 1년 전 대비 31.2% 감소.
  • 예수금: 같은 기간 19조 2,000억원으로, 기업금융 중심의 예수금이 늘어나 4.4% 증가.

즉, 은행의 자산 구조가 소비자에서 기업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 분명하게 드러납니다.


6. 씨티은행의 전략 변화, 앞으로는?

유명순 한국씨티은행장은 “기업금융 부문의 비이자수익이 강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면서, “수익성과 비용효율성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씨티은행은 앞으로도 기업금융에 더욱 집중하고, 소비자금융에서 한 걸음 물러나는 전략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이는 글로벌 씨티그룹의 방향성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7. 한눈에 보는 주요 수치 요약

| 구분 | 2024년 상반기 | 2025년 상반기 | 증감률 | |------------------|--------------|--------------|------------| | 순이익 | 1,751억원 | 1,831억원 | +4.5% | | 총수익 | 6,000억원 | 5,595억원 | -6.7% | | 이자수익(2Q) | 2,044억원 | 1,287억원 | -37.0% | | 비이자수익(2Q) | 972억원 | 1,623억원 | +67.1% | | 비용(2Q) | 1,508억원 | 1,375억원 | -8.8% | | 대손비용(2Q) | 183억원 | 227억원 | +24.1% | | 대출자산(6월말) | 10.98조원 | 7.55조원 | -31.2% | | 예수금(6월말) | 18.4조원 | 19.2조원 | +4.4% | | 순이자마진(NIM) | 2.98% | 2.36% | -0.62%pt |


마치며: 소비자금융 철수 이후의 씨티은행, 변화의 시기

정리하자면, 한국씨티은행은 소비자금융을 단계적으로 철수하는 와중에도 기업금융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으며 순이익을 늘렸습니다. 앞으로도 은행의 주력은 기업금융, 그리고 비이자수익 다변화가 될 전망입니다. 금융시장의 변화 속에서 씨티은행의 행보가 앞으로 어떻게 펼쳐질지, 계속 주목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면 언제든 댓글로 남겨주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