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70년대 서울 시흥동, 판자촌에서 시작된 기적 같은 이야기
서울 금천구 시흥동, 지금은 도시의 평범한 동네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1970년대 이곳은 서울을 대표하는 판자촌이었습니다. 약 4만 명이 모여 살았지만, 깨끗한 식수조차 구하기 힘든 환경, 의료시설은 전무하다시피 했고, 병치레와 가난, 슬픔이 일상이었습니다. 그런데 바로 이 척박한 땅에서 ‘의료사회복지’라는 희망의 씨앗이 움트기 시작했습니다.
희망의 씨앗, ‘전진상 공동체’의 탄생
1975년, 시흥동에 아주 특별한 약국이 문을 엽니다. 이름은 ‘전진상’. 이곳은 단순한 약국이 아니었습니다. 벨기에 출신 의사 배현정(한국명, 마리 헬렌 브라쇠르) 원장과, 약사 최소희, 사회복지사 유송자, 그리고 조금 뒤 합류한 간호사 김영자 등, 각자의 전문 분야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공동체를 만들었습니다. 이들의 목표는 오로지 하나, ‘가난한 이웃을 위해 교회가 먼저 거리로 나가자’는 것이었습니다.
이들의 시작은 매우 소박했습니다. 돈 없는 환자들이 쉽게 들를 수 있는 약국에서, 누구든 차별 없이 약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문을 활짝 열어두었습니다. 약국 이름 ‘전진상’은 이 공동체의 영성, 즉 ‘온전한 자아 봉헌(全), 참다운 사랑(眞), 끊임없는 기쁨(常)’에서 따온 것이죠.
산동네를 오르며, 삶과 죽음을 함께하다
이들의 하루는 산동네 판자촌을 오르는 것으로 시작했습니다. 몸이 아파 약국을 찾는 이들을 돌보는 것은 물론, 조를 짜서 직접 환자들을 찾아다녔습니다. 제때 치료받지 못한 알코올중독자, 조현병 환자, 심지어 병으로 세상을 떠난 이들의 시신까지 마주하는 일이 일상이었습니다.
가장 가슴 아픈 순간은 어린아이들을 볼 때였습니다. 지하 하수구 밑에서 발견된 8살 소년의 주검, 가정폭력으로 겨울에 방치돼 죽음 직전까지 내몰린 갓난아이의 모습 등, 가난과 절망이 얼마나 잔인할 수 있는지 절실히 깨닫게 해주었습니다. 하지만 그 아이를 안고 큰 병원으로 달려가 기적처럼 살려낸 일도 있었습니다. 나중에 그 어머니가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해 몇 달간 돈을 모아 약국을 다시 찾았던 일은 지금도 잊지 못하는 감동으로 남아 있습니다.
공동체와 함께 성장한 아이들, 그리고 ‘통합복지’의 시작
전진상 공동체를 거쳐 간 아이들은 그 자체로 큰 보상이었습니다. 네 살에 양잿물을 마셔 식도가 다 타버렸던 아이는 건강을 되찾고, 폐에 고름이 차 심장이 오른쪽으로 밀렸던 소녀도 배현정 원장의 헌신으로 살아났습니다. 지금도 이들은 어버이날이면 농사지은 과일과 달걀, 그리고 손수 만든 카네이션을 들고 공동체를 찾아옵니다. 한때 죽음의 문턱에 있었던 이들이 건강하게 자라 자신의 가정을 꾸리며 살아가는 모습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기쁨이자 자랑입니다.
이런 경험들이 쌓이며, 전진상 공동체는 단순한 약국이나 의원을 넘어 ‘가계도’를 기반으로 한 통합복지 시스템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처음 기관을 찾으면 사회복지사가 가족력, 재정상황 등 3대에 걸친 정보를 상담하며, 의료 지원뿐 아니라 장학금 등 다양한 후원도 함께 이뤄집니다.
변하지 않는 정신, 그리고 새로운 도전
전진상 공동체는 약국, 의원, 복지관, 호스피스 센터, 지역아동센터 등 5개 기관이 연합해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평균 나이 70세가 넘는 ‘유쾌한 언니들’은 지금도 봉사의 삶을 멈추지 않습니다. 물론, 고령화와 외부 지원 감소 등으로 운영의 어려움도 커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려운 이웃을 도와야 한다는 정신만큼은 꼭 이어가고 싶다”는 것이 이들의 한결같은 바람입니다.
최근에는 이들의 헌신이 인정받아, ‘포니정 혁신상’이라는 큰 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 상은 현대자동차의 창업주 고 정세영 명예회장의 애칭에서 따온 상으로, 혁신적인 사회공헌에 주어지는 명예로운 상입니다.
시흥동 판자촌의 작은 약국에서 대한민국 복지의 모델로
전진상 공동체의 이야기는 ‘가난한 이웃을 위한 작은 실천’이 어떻게 한 지역의 복지 모델로 성장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살아있는 역사입니다. 그 시작은 판자촌의 좁은 골목과 하수구, 그리고 차가운 겨울밤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마음은 지금도 변하지 않고,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여러분, 우리 사회에도 아직 도움이 필요한 곳이 많습니다. 전진상 공동체처럼, 한 사람의 작은 용기와 연대가 세상을 바꾼다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합니다.